The Ability to See Beauty
October 2025
The Ability to See Beauty
What is beauty?
To discover beauty, one sometimes needs a stroke of fortune; it may reveal itself even in darkness, by chance. The realm of beauty is a realm of value, and if we lose our inner measure of judgment, we easily drift away from its essence.
When we look at a work of art, our evaluation of beauty should remain focused solely on beauty itself. Can a collector without intuitive insight truly be called a collector? Rarity, pristine condition, artistic lineage, the artist’s biography, signatures or seals — none of these external attributes have anything to do with the inherent essence of beauty. Seeking the core of beauty among such external factors is a mistaken pursuit; it merely skims the surface without ever reaching the core.
To approach the essence of beauty, what is required is a penetrating insight — intuition. This is the true meaning of “seeing.” One must not only behold this mysterious beauty, but also learn from it. Only then is true understanding possible, though the path is neither simple nor direct.
Reason may interpret the outcome of intuition afterward,
 but it cannot create intuition itself.
 “The results of intuition can be studied by intellect, but the intellect cannot give birth to intuition.” Soetsu Yanagi
Soetsu Yanagi offers an essential piece of advice:
When we first encounter something, we must refrain from judging it. Let no critical thought arise prematurely. What matters first is a posture of pure receptivity — not turning the object into a target of intellectual evaluation from the outset. Like a clean mirror that reflects with clarity, an unburdened mind reveals beauty more vividly.
When knowledge is used too early, our capacity to see is narrowed and restricted. We must liberate ourselves from this constraint. Before we begin to express our own interpretation, we must first listen to what the object itself has to say. I think it needs much training.
아름다움을 볼 수 있는 능력
아름다움이란 무엇일까.
 아름다움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때로는 운이 필요하며, 우리는 어둠 속에서도 우연히 그것을 마주할 수 있다. 미(美)의 세계는 가치의 세계이기에, 만약 우리가 판단의 기준을 잃는다면 아름다움의 본질에서 쉽게 멀어질 수 있다.
예술 작품을 바라볼 때 ‘아름다움에 대한 평가’는 오직 그 작품 자체의 아름다움에 집중되어야 한다. 직관적인 통찰이 없는 수집가가 과연 진정한 수집가라 할 수 있을까? 희귀성, 완전한 상태, 예술사적 계보, 작가의 삶이나 명성, 서명과 같은 외부적 조건들은 아름다움 그 자체와는 본질적으로 무관하다. 이러한 외부 요소들 속에서 미의 핵심을 찾으려는 태도는 결국 표면만을 스칠 뿐, 본질에 닿지 못한다.
아름다움을 이해하고 본질에 가까워지는 길은 ‘침투하는 통찰력’, 즉 직관을 통해 가능하다. 이것이야말로 진정한 의미의 ‘본다는 것’이다. 이 신비로운 미를 보고, 그것으로부터 배우는 과정까지 나아가야 비로소 아름다움을 이해할 수 있으며, 이 길은 결코 단순하지 않다.
“지성(이성)은 직관의 결과를 나중에 해석할 수는 있지만, 직관 자체를 만들어내지는 못한다.” - 야나기 무네요시
야나기 무네요시는 중요한 조언을 남긴다.
어떤 것을 처음 마주할 때는 판단하지 말라는 것이다. 비판적 사고가 개입되기 전에, 우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태도’를 취해야 한다. 이것은 대상을 처음부터 지적 분석의 대상으로 삼지 않는다는 뜻이다. 깨끗한 거울이 사물을 더욱 선명하게 비추듯, 마음을 비움으로써 비로소 사물의 진정한 아름다움이 드러난다.
또한 지식이 앞서게 되면 우리의 시야는 오히려 좁아지고 제한된다. 우리는 이러한 제약에서 벗어나야 한다. 무언가를 이해하기 전에 먼저 들어야 한다는 말처럼, 표현하기 이전에 우리는 먼저 사물이 스스로 말하는 바를 듣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우리는 많은 이 연습이 필요한 것 같다.